
드디어 GT-I9300의 완벽한 벤치마크 결과가 나왔습니다.
정말 흥미로운 결과인데요.
Device Information |
android.os.Build.VERSION.RELEASE | 4.0.3 |
android.os.Build.DISPLAY | IML74K.I9300XXALCB
|
android.os.Build.VERSION.SDK | 15
|
android.os.Build.BOARD | smdk4x12
|
android.os.Build.BRAND | samsung
|
android.os.Build.DEVICE | m0
|
android.os.Build.FINGERPRINT | samsung/m0xx/m0:4.0.3/IML74K/I9300XXALCB:user/release-keys
|
android.os.Build.HOST | SEP-85
|
android.os.Build.MODEL | GT-I9300
|
android.os.Build.PRODUCT | m0xx
|
android.os.Build.TAGS | release-keys
|
android.os.Build.TIME | 1332791525000
|
android.os.Build.TYPE | user
|
android.os.Build.USER | se.infra
|
android.os.Build.VERSION.INCREMENTAL | I9300XXALB |
OS | Android |
Screen size | 1280 x 720 |
Min CPU Freq | 200 MHz
|
Max CPU Freq | 1400 MHz |
OpenGL ES Environment Variables |
GL_VENDOR | ARM
|
GL_VERSION | OpenGL ES 2.0
|
GL_RENDERER | Mali-400 MP
|
GL_EXTENSIONS | GL_ARM_mali_shader_binary GL_ARM_rgba8 GL_EXT_blend_minmax GL_EXT_discard_framebuffer GL_EXT_multisampled_render_to_texture GL_EXT_texture_format_BGRA8888 GL_OES_compressed_ETC1_RGB8_texture GL_OES_depth_texture GL_OES_depth24 GL_OES_EGL_image GL_OES_EGL_image_external GL_OES_EGL_sync GL_OES_packed_depth_stencil GL_OES_rgb8_rgba8 GL_OES_standard_derivatives GL_OES_texture_npot |
GL_MAX_TEXTURE_SIZE | 4096 |
GL_MAX_VIEWPORT_WIDTH | 4096
|
GL_MAX_VIEWPORT_HEIGHT | 4096
|
GL_NUM_COMPRESSED_TEXTURE_FORMATS | 1
|
GL_ALIASED_LINE_WIDTH_MIN | 1
|
GL_ALIASED_LINE_WIDTH_MAX | 100
|
GL_ALIASED_POINT_SIZE_MIN | 1
|
GL_ALIASED_POINT_SIZE_MAX | 100 |
먼저 해상도 결과가 바뀌었습니다.
1280x720인것을 보아 물리버튼이 존재한다는 것이죠!
※갤럭시 넥서스 처럼 소프트웨어 버튼이 존재하는경우는 예를 들어 1196x720로 해상도가 잘려나옵니다.
두번째는 Mali-400 MP4이기는 한데 오버클럭된 Mali-400 MP4 (400MHz) 라는 것입니다.
(GT-I9300) 갤럭시 노트 (GT-N7000)
해상도가 비슷하고 엑시노스 4210을 써 Mali-400MP4 (266MHz)를 사용한 갤럭시 노트와
GT-I9300를 비교해보자면
모든 벤치마크 결과의 FPS를 GT-I9300가 훌쩍 뛰어넘습니다.
Mali-400MP4에 100% 오버클럭한 400MHz 클럭의 결과로 이전 엑시노스 4210의 Mali-400MP4 266MHz 클럭과는 최대 50%의
그래픽향상이 있다고 합니다.
이 결과를 비교하면 50%에는 못미치지만 10~50% 내외의 변화가 있는것으로 보아
Mali-400 MP4의 400MHz 버젼이 들어간게 맞는것으로 보이네요.
CPU는 엑시노스 4212으로 보이기는 합니다만 저 1400MHz이 미지수 네요...
원래 엑시노스 4212의 일반클럭은 1500MHz입니다만...실사제품이 아닌 테스트 제품은 항상 클럭을 낮추어 테스트하는 모습이 있었기 때문에 엑시노스 4212로 봐도 무방할것 같네요.
※ 앞의 포스팅에 따르면 엑시노스 4412는 Mali-T604인것으로 보아 엑시노스 4412일 가능성은 배제해두겠습니다. 물론 엑시노스 5250 가능성은 0%이죠.
GT-I9300이란 제품은 갤럭시 S3는 아니고 갤럭시 S2+ 모델이거나 엑시노스+LTE 원칩 탑재기기로 추측됩니다.
그리고 Meizu와 갤럭시 노트 10.1에 이미 엑시노스 4412를 탑재했는데 갤럭시 S3에 엑시노스 4212를 쓸리도 없을겁니다.
그렇다면 GT-I9500는 실제 갤럭시 S3의 모델명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.
현재 GT-I9500는 GL-Benchmark에는 테그라 2 제품인 옵티머스 2X로 잘못 올려져 있지만 곧 벤치결과가 수정될것 같네요.
(제 욕심이지만 Exynos 5250 보드에 Mali-T604MP를 단 모델이 보였으면 합니다.ㅎㅎ;)
제 생각으로는 이번 HTC가 One X, One S를 보인것 처럼 삼성도 비슷한 방식으로 할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입니다.
최근 아주 재미로운 소식들이 들어오네요.
※ 엑시노스 4212 이 아닐수도 있다는 관측이 보여집니다.
엑시노스 4412일 가능성이 존재해 일부부분 삭제합니다.
댓글을 달아 주세요